시인들의 시 : 시시 좋아하는 시인들의 시모음
14 Posts
○ 시인 소개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2008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페루」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 『아마도 아프리카』『왜냐하면 우리는 우리를 모르고』가 있다. 제21회 편운문학상 시 부문 우수상, 제2회 김현문학패, 제67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197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0년 문학동네 신인상으로 등단했으며, 현재 '불편'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108번째 사내》(문학동네, 2005) 《언니에게》(민음사, 2010) 《차가운 사탕들》(문학과지성사, 2014) 《어떤 사랑도 기록하지 말기를》(문학과지성사, 2019) 《여름만 있는 계절에 네가 왔다》(도서출판 아시아, 2020) 《You Arrived in the Season of Perennial Summer》 (도서출판 아시아, 2020)
시인 이병률은 충북 제천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9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 「좋은 사람들」 「그날엔」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 『바람의 사생활』 『찬란』 『눈사람 여관』 『바다는 잘 있습니다』 『이별이 오늘 만나자고 한다』, 산문집 『끌림』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내 옆에 있는 사람』 『혼자가 혼자에게』 『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가 있다. 현대시학 작품상, 발견문학상, 박재삼문학상을 수상했다. ‘시힘’ 동인이다.
1994년 《현대시학》으로 등단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앤디 워홀의 생각』, 『뒷모습』, 『최선은 그런 것이에요』, 『당신은 첫눈입니까』가 있고 산문집으로 『시의 인기척』, 『돌려주시지 않아도 됩니다』가 있다. 질마재문학상, 대구시인협회상, 시산맥작품상을 수상하였다.
1981년 서울 동대문에서 태어났다. 2015년까지 영화 현장에 있으면서 장편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일곱 작품에 참여하였고, ‘목년사’에서 단편 극영화와 뮤직비디오를 연출하고 있다. 시집 『연애의 책』 『식물원』 『작가의 탄생』이 있고 산문집 『디스옥타비아』 『산책과 연애』 『거짓의 조금』을 썼다. 난설헌시문학상을 수상했다.
1988년 경기도 안양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으며[1], 2010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으로 등단했으며 현재 서울예술대학교 문예학부 문예창작전공 강사로 재직 중이다. 2012년 제31회 김수영문학상, 2019년 제18회 서라벌문학상 신인상, 2021년 제66회 현대문학상(시 부문)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구관조 씻기기』 『희지의 세계』 『사랑을 위한 되풀이』 『여기까지가 미래입니다』 등이 있다.
1964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88년 『문학사상』 신인상 시 부문에 「칼레의 바다」 외 여섯편의 시가, 19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서늘한 패러디스트의 절망과 모색」이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한 후 시쓰기와 평론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시집 『자작나무 내 인생』 『흰 책』 『삼천갑자 복사빛』 『와락』 『은는이가』 『봄이고 첨이고 덤입니다』 등이 있다.
1987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2003년 2월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문예창작학 석사 학위, 2006년 8월 동 대학원에서 문예창작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뒤 2021년까지 계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시집 『황금 연못』 『바퀴소리를 듣는다』 『하늘 우물』 『달과 뱀과 짧은 이야기』 『그 겨울 나는 북벽에서 살았다』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가 있다. 2004년 제15회 김달진문학상 2007년 제3회 일연문학상 2007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7 올해의 시 2013년 제27회 금복문화상 2014년 제14회 노작문학상
서효인은 1981년 6월 12일 광주 출생으로 전남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11년 현재 명지대 문예창작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2006년 '시인세계'로 등단했으며 현재 '작란(作亂)'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1965년 강원도 정선에서 태어나 1990년 《문학사상》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단편들』,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 『아무르 기타』, 『사랑과 열병의 화학적 근원』, 『삶이라는 직업』, 『모든 가능성의 거리』, 『체 게바라 만세』, 『그녀에서 영원까지』, 『불란서 고아의 지도』, 『라흐 뒤 프루콩 드 네주 말하자면 눈송이의 예술』이 있다. 김달진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오랑캐 이 강으로 영화 「베르데 공작과 다락방 친구들」, 「세잔의 산 세 잔의 술」, 「코케인 무한의 창가에서」 등의 각본을 쓰고 감독했다. 현재 ‘이절 아케이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율란통신〉 초대 편집장, 무가당 담배 클럽 동인, 인터내셔널 포에트리 급진 오랑캐 밴드 ..
류근은 경북 문경에서 태어나 충북 충주에서 자랐으며,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92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으나, 18년간 공식적인 작품 발표를 하지 않았다. 2010년 시집 『상처적 체질』을 펴냈다. 산문집 『사랑이 다시 내게 말을 거네』 등을 출간했다. KBS 「역사저널 그날」 패널로도 활동 중이다.
1948년 전북 임실에서 태어났다. 1982년 『꺼지지 않는 횃불로』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섬진강』 『맑은 날』 『꽃산 가는 길』 『강 같은 세월』 『그 여자네 집』 『나무』 『그래서 당신』 『수양버들』 『키스를 원하지 않는 입술』 『울고 들어온 너에게』 『나비가 숨은 어린나무』 등이 있으며, 동시집 『너 내가 그럴 줄 알았어』 『콩, 너는 죽었다』 등과 산문집 『김용택의 섬진강 이야기』(전 8권) 등을 펴냈다. 김수영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윤동주상 문학대상 등을 수상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2000년 《작가세계》 신인상을 통해 등단했다. 수상 작품은 〈성내동 옷수선집 유리문 안쪽〉 2008년 제2회 시작문학상과 제5회 육사시문학상 젊은시인상, 2015년 제15회 노작문학상, 2014년 제18회 현대시작품상, 2017년 제18회 백석문학상[3]을 받았다.
시인 오은은 1982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봄 『현대시』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집 『호텔 타셀의 돼지들』 『우리는 분위기를 사랑해』 『유에서 유』 『왼손은 마음이 아파』 『나는 이름이 있었다』, 청소년 시집 『마음의 일』, 산문집 『너랑 나랑 노랑』 『다독임』이 있다. 박인환문학상, 구상시문학상, 현대시작품상,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작란作亂 동인이다. https://www.instagram.com/flaneuroh/